워낙에 윈도우 시스템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간혹 업데이트 때문에 곤란 할 때가 많습니다.. 예전 보다 지금은 보안관련 업데이트가 많다 보니 업데이트를 하지 않았으면 할 때도 있습니다. 업데이트 하면 시간도 걸리고 시스템은 버버벅에 간간히 뻑 날때도 있다 보니, 특히 개발 업무를 할때 네트워크쪽은 발썽을 부릴 때가 많습니다..
지금 현재는 윈도우 7은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고 윈도우 10이 많이 보급되어 있는 상태, 겉으로 보기엔 많이 바뀐듯 아닌듯 하지만 안에 구성되어 있는 윈도우 업데이트 부분은 같기 때문에 간략히 여기 적어 봅니다.
윈도우의 서비스 항목으로 들어가 윈도우즈 업데이즈(Windows Update) 항목을 찾아서 정지 시켜 주면 끝. 제어판에 업데이트 관련 항목이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어서 보다 찾기 쉽운 방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윈도우 7 (Windows 7)
윈도우 7 은 시작에서 실행(or 윈도우키 + R) 에서 "services.msc" 치거나 시작을 누르면 아래 프로그램 및 검색 부분에서 "services.msc" 를 치고 엔터를 누르면 됩니다.
윈도우 10 (Windows 10)
윈도우 7 과 비슷하다. 윈도우키 + X 에서 실행, 윈도우키 + R, 작업줄의 Windows 검색에 "services.msc"를 치고 엔터 하면 됩니다.
위와 같이 하면 윈도우 시스템에 상관없이 아래 이미지 같은 창이 뜹니다.(모양은 조금 틀리지만 윈도우 7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이게 윈도우 서비스를 관리하는 창입니다. 여기서 "Windows Update" 항목을 찾아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합니다.
마우스 오른쪽 클릭에서 속성에 들어가면 아래 창이 뜨고 여기에서 일반탭에 시작유형을 "수동" 또는 "사용 안 함" 으로 선택뒤 확인을 눌러주면 끝납니다. 혹여 다시 업데이트를 하고 싶으면 위 과정을 거친뒤 자동으로 해 주면 됩니다.
'디지탈세상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북 업그레이드(LG P510 시리즈) - 저장장치(SSD) & 램(RAM) (0) | 2018.03.09 |
---|---|
디스크 이미지 파일 변환(7Z, BIN, DAA, DEB, DMG, IMG, ISO, ISZ, MDF, NRG, PKG, RAR, TAR.GZ, TAR.BZ2, XAR, ZIP) (4) | 2018.02.26 |
USB 활용 (2) | 2017.11.30 |
모니터 확장(Display, Monitor, 디스플레이, 모니터) (0) | 2017.11.21 |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display, monitor) (2) | 2017.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