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탈세상/컴퓨터

윈도우 탐색기에서 FTP 연결하기(FTP를 윈도우 탐색기에 드라이브 처럼 사용)

NAS를 사용하거나 외부 FTP를 자주 사용하게 되면 귀찮은 점이 많습니다.

가끔 영화나 올리고 하면 괜찮지만 쇼핑몰이나 직업적인 일을 할때면 매번 접속해서 쓰기가 번거롭지요. 그래서 FTP 사이트를 윈도우 탐색기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 두가지를 알려 드립니다.


1. 윈도우 탐색기의 직접 입력하는 방법 입니다.


만약 ftp 접속 주소가 www.xxxxx.co.kr 이라고 한다면 

ftp 사이트 주소는 ftp://www.xxxxx.co.kr 이 됩니다.


- 윈도우 탐색기 주소(디렉토리 주소)에 본인이 사용하는 ftp 주소를 넣고 엔터를 칩니다.(만약 포트번호가 기본이 아니면 주소 뒤에 ":포트번호"를 넣어 줍니다.

- 로고인 창이 뜨고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넣고 접속하면 됩니다.

- 단점은 매번 주소를 넣어야 되기 때문에 창을 닫으면 다시 접속을 해야 됩니다.




2. 윈도우 탐색기의 오른쪽에 목록으로 만들기(드라이브 형태)

 

이 방법은 윈도우 탐색기의 오른쪽 목록에 네트워크 드라이브 형태로 만들어 언제든지 접속 할 수 있는 방법 입니다. 대신 필요 없으면 선택을 하고 지우면 끝입니다. 어찌 보면 바로가기 폴더 같은 형태라 지워도 안에 내용물까지는 지워지지 않습니다.


- 윈도우 탐색기의 오른쪽 네트워크 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이나 메뉴의 도구에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선택합니다.





- 창이 뜨면 아래쪽 파란색 밑줄이 그어진 글씨를 선택 합니다.




- 다음 으로 넘어갑니다.




-  다음으로 넘어 갑니다.




- 위 1에서 넣었던 ftp 주소를 넣습니다.




- ftp 접속 사용자 이름을 넣습니다.




- 탐색기에 표시될 이름을 넣습니다.




- 체크 박스에 체크가 되어 있으면 바로 로그인 창이 뜹니다.




- 암호를 넣으면 접속 됩니다.




-  오른쪽 빨간색 밑줄 처럼 설정된 이름으로 나타납니다.




* 속도 테스트는 안 해보았는데 ftp 접속 때 전송 속도와 비슷하게 나오는거 같네요.

* 한번 설정할 때 잘못하면 처음 부터 다시해야 합니다. 생성되고 나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속성(가운데/끝)에 들어가도 할 수 있는게 없습니다.